https://jjalbot.com/media/2018/12/fc6f98Qqi/zzal.jpg

개발덕후의 개발블로그

[Web] Web Server와 WAS

WAS (Web Application Server) 클라이언트로부터 웹 서버가 요청을 받으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로직을 실행하여 서버로 다시 반환해주는 소프트웨어이다. 웹 서버와 DBMS 사이에서 동작하는 미들웨어로써, 컨테이너 기반으로 동작한다. 1. HTTP 서버 (웹 서버) URL 주소의 해석을 맡아 주는 HTTP서버를 말한다. 단순히 어떤 주소(URL) 요청이 들어왔을 경우, 그 주소에 미리 매핑되어 있는 콘텐츠(HTML 파일이나 이미지 등) 즉, 정적 컨텐츠를 사용자의 브라우저에 응답 형태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. 이 때 만일 요청된 URL이 서블릿 클래스 또는 JSP파일(ex.

[Django] 운영환경에서 runserver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

장고 공식 문서에 이런 글이 있다. 이쯤에서 하나 기억할 것이 있습니다. 절대로 개발 서버를 운영 환경에서 사용하지 마십시요. 개발 서버는 오직 개발 목적으로만 사용하여야 합니다(우리는 웹 프레임워크를 만들지 웹 서버를 만들지는 않거든요). - runserver 관련 내용 프로젝트 개발 당시 거의 runserver를 사용했고, aws로 배포할 때 runserver가 아닌 다른 서버 구동 방식이 있다는 걸 알게 되었다. 우선 운영 서버로 runserver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, 기능이 단순하고 대량요청이나 동시요청을 효율적으로 처리하지 못한다 는 이유로 운영 환경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.

[프로젝트] 고기각 (Cloning '정육각')

프로젝트 개요 프로젝트 소개: Django를 이용한 커머스 사이트 ‘정육각’ 클론 프로젝트 개발기간: 2021.07.05 - 2021.07.16 (총 12일) 참여인원: 프론트엔드 3명, 백엔드 3명 github 주소: https://github.com/jungminsayho/gogigak 백엔드 구현 기능 (내가 작업한 내용은 👀 표시 하였다.) bcrypt와 jwt를 이용한 회원가입 / 로그인 기능 마이페이지 구현 주소 별 신선배송 가능여부 반환 기능 제품 상세페이지 구현 👀 제품 리스트 필터링 기능 (카테고리 별, 판매순/리뷰순/가격순) 👀 제품에 대한 리뷰 작성/읽기/삭제 기능 👀 장바구니에 상품 추가/읽기/삭제/수량변경 기능 구매 기능 기능 구현에 대한 고민 (내가 작업한 기능 중, 고민이 많이 들어갔던 기능에 한하여 작성하였다.